[스프링 - 핵심원리] 제어의 역전, 의존관계 주입, 컨테이너

제어의 역전: IoC(Inversion of Control)

기존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

  •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, 연결, 실행 한다.
  • 즉,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 제어의 주체 가 된다.


AppConfig를 구현한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

AppConfig 관련 내용은 이전 게시글 참고

  • 기존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AppConfig가 가져간다.

  • Ex) 이전 게시글MemberServiceImpl 클래스는 필요한 인터페이스들을 호출하지만 어떤 구현 객체들이 실행될지 모른다.
    • 왜냐하면, AppConfig 가 구현 객체를 주입해주기 때문이다.
    • 그럼에도 MemberServiceImpl 클래스는 자신의 로직을 묵묵히 수행한다.
  •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 (IoC) 라고 한다.



의존관계 주입: DI(Dependency Injection)

의존관계

  • ‘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는 클래스’는 실제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지 모른다.

  •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(인스턴스)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한다.


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

  •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.

  • 클래스 의존관계 만으로는 실제 어떤 객체가 주입되는지 알 수 없다.
  • 예시
    • 클래스 다이어그램이 아래와 같이 주어졌다. (클래스 다이어그램은 클래스간의 의존관계를 나타낸다.)

      클래스다이어그램

    • 여기서 OrderServiceImpl 클래스에게 MemoryMemberRepository 구현 객체와 DbMemberRepository 구체 구현 중 어떤 것이 주입되었는지 알 수 없다.

    • FixDiscountPolicy 구현 객체와 RateDiscountPolicy 구현 객체 역시 어떤 것이 주입되었는지 알 수 없다.


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

  •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란,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관계다.

  •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는 객체 다이어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
    객체다이어그램


의존관계 주입 (DI)

  • 의존관계 주입 이란,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(구현 객체를 사용하는 클래스)와 서버(구현 객체의 클래스)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뜻한다.

    이전 게시글 참고


  •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,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사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.

  •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,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.



IoC 컨테이너, DI 컨테이너

  •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
    ⇒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

    최근에는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DI 컨테이너라 한다.

    IoC는 DI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.




  • 본 게시글은 김영한님의 강의를 토대로 정리한 글입니다.
  •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들이 계신다면,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